[사진] 메뉴
: [사진] 메뉴와 [비디오] 메뉴에 공통인 메뉴 항목. 이 설정들은 동기화됩니다.
[사진] 메뉴([이미지 품질])
: 기본 설정
[사진 스타일]
|
피사체와 표현 스타일에 맞게 이미지의 마감 설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( |
[측광모드]
|
휘도를 측정하는 광학 측정의 종류는 바뀔 수 있습니다. ( |
[화면비율]
|
이미지 화면비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( |
[사진화질]
|
사진 저장에 사용되는 압축율을 설정합니다. ( |
[기록화소수]
|
사진의 이미지 크기를 설정합니다. ( |
[장노출 노이즈 제거]
|
느린 셔터 속도로 이미지를 촬영할 때 발생한 노이즈를 카메라가 자동으로 제거합니다.
– 비디오 촬영/[6K/4K 포토]/[포스트 포커스] – [ELEC.]([ELEC.+NR])/[무음 모드] 제외 |
[ISO 감도(사진)]
[ISO 자동 하한 설정] |
|
[ISO 자동 상한 설정] |
|
ISO 감도가 [AUTO]로 설정되어 있을 때 ISO 감도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을 설정합니다. |
[최소 셔터 스피드]
|
ISO 감도가 [AUTO]로 설정되어 있을 때 최소 셔터 속도를 설정합니다.
|
[I.다이내믹 범위]
[AUTO]/[HIGH]/[STANDARD]/[LOW]/ |
배경과 피사체 사이의 밝기 차이가 클 경우에는 콘트라스트와 노출이 보정됩니다.
– [Like709]/[V-Log L]/[하이브리드 로그 감마]([사진 스타일]) – [필터 설정] |
[비네팅 보정]
[ON]/ |
렌즈 특성으로 인해 화면 주위가 어두워지면 화면 주위의 밝기를 보정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.
– [확장 망원 변환] – [PIXEL/PIXEL]([비디오의 이미지 영역]) – [가변 프레임 레이트] |
[회절보정]
[AUTO]/ |
조리개가 닫혀 있을 때 카메라가 회절에 의한 흐릿함을 보정하여 이미지 해상도를 높입니다.
|
[필터 설정]
[필터 효과] |
[ON]/ |
[필터없이 동시 기록] |
[ON]/ |
추가적인 이미지 효과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모드입니다(필터). ( |
[사진] 메뉴([초점])
: 기본 설정
[AF 사용자 설정(사진)]
|
피사체와 장면에 적합한 [AFC]를 사용하여 촬영할 때 AF 작동 기능을 선택합니다. |
[AF 보조 램프]
|
저조명에서 촬영할 때 셔터 버튼을 반쯤 누르면 AF 보조등이 켜져 카메라가 초점을 맞추기 쉽게 만들어줍니다.
– 교환식 렌즈(H-ES12060)를 광각 끝에 부착 시. 약 1.0 m에서 3.5 m – 교환식 렌즈(H-FS12060)를 광각 끝에 부착 시. 약 1.0 m에서 3.0 m
|
[초점 피킹]
|
|
[SET] |
[초점 피킹 감도] |
[표시 색상] |
|
[AFS 중 표시] |
|
MF 조작 시 초점이 맞춰진 부분(화면에서 뚜렷한 윤곽으로 표현된 부분)이 컬러로 하이라이트됩니다.
|
[1-영역 AF 이동 속도]
|
단일 AF 영역의 이동 속도를 설정합니다. |
[사진] 메뉴([플래시])
: 기본 설정
[플래시 모드]
|
플래시 모드를 설정하십시오. ( |
[조명 모드]
|
플래시 출력의 설정 방식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
[플래시 조절]
[ |
[조명 모드]를 [TTL]로 설정하면 플래시 출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 ( |
[플래시 싱크로]
|
플래시 모드를 후막 싱크로로 설정합니다. |
[수동 플래시 조절]
[1/128]에서 |
[조명 모드]를 [MANUAL]으로 설정하면 플래시 출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|
[자동 노출보정]
[ON]/ |
노출 보정 값과 함께 플래시 출력을 자동으로 조정합니다. |
[무선]
[ON]/ |
무선 플래시를 사용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 |
[무선 채널]
|
무선 플래시로 촬영할 때 사용할 채널을 설정합니다. |
[무선 FP]
[ON]/ |
무선 플래시로 촬영할 때 외장 플래시의 FP 발광을 사용합니다. ( |
[통신 조명]
|
통신 조명의 강도를 설정합니다. ( |
[무선 설정]
[외장 플래시] |
[조명 모드]/[플래시 조절]/[수동 플래시 조절] |
[A 그룹]/[B 그룹]/[C 그룹] |
[조명 모드]/[플래시 조절]/[수동 플래시 조절] |
무선 플래시 촬영의 세부 설정을 지정합니다. |
[사진] 메뉴([기타 (사진)])
: 기본 설정
[브래킷]
[브래킷 유형] |
[ |
[더 많은 설정] |
|
설정을 자동으로 조정하면서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. ( |
[무음 모드]
[ON]/ |
모든 조작음과 조명 출력이 한번에 비활성화됩니다. ( |
[이미지 흔들림 방지]
[작동 모드] |
|
[E-손떨림 보정 (비디오)] |
[ON]/ |
[Boost I.S. (비디오)] |
[ON]/ |
[아나모픽 (비디오)] |
[ |
[렌즈 정보] |
[Lens1]에서 [Lens12]( |
이미지 손떨림 보정 설정을 구성합니다. |
[연사속도]
|
연사 촬영 조작을 설정합니다. ( |
[셔터 타입]
[AUTO]/ |
사진 촬영에 사용할 셔터 타입을 선택합니다. ( |
[셔터 지연]
[8SEC]/[4SEC]/[2SEC]/[1SEC]/ |
카메라 흔들림과 셔터로 인한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 셔터 버튼을 누른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셔터가 눌립니다.
– 비디오 촬영/[6K/4K 포토]/[포스트 포커스] |
[확장 망원 변환]
[ZOOM]/[TELE CONV.]/ |
광학 줌으로 가능한 배율 이상으로 확대된 사진을 이미지 품질 저하 없이 촬영할 수 있습니다. ( |
[인터벌/애니메이션]
[모드] |
|
[스톱 모션 애니메이션] |
|
인터벌 촬영은 설정된 촬영 간격으로 촬영이 자동으로 시작/정지됩니다.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은 피사체를 조금씩 움직이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. |
[셀프타이머]
|
|
[SET] |
[사용자 설정된 시간] |
[카운트다운 표시] |
|
셀프 타이머 시간을 설정합니다. |
[6K/4K 포토]
[사진 크기 / 연사 속도] |
|
[촬영 방법] |
|
[연사 전 녹화] |
[ON]/ |
6K/4K 포토를 설정합니다. 고속 연사로 촬영한 연사 파일에서 추출한 사진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. |
[포스트 포커스]
|
초점 포인트를 자동으로 변경하면서 6K/4K 포토와 같은 이미지 품질로 연사 사진을 촬영합니다. 촬영 후 저장할 사진의 초점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
[다중 노출]
[시작] |
|
[자동 게인] |
|
[오버레이] |
[ON]/ |
하나의 이미지에 4개의 노출에 해당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 [시작]: 다중 노출의 노출을 시작합니다. [자동 게인]: 이미지 매수에 따라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합니다. [오버레이]: 촬영된 RAW 이미지를 다중 노출할 수 있습니다. [시작]을 선택하면 스태킹할 이미지의 선택 화면이 표시됩니다. |
|
– [다음](셔터 버튼을 반쯤 눌러 같은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.) – [재촬영] – [나가기]: 사진을 촬영하고 다중 노출 촬영을 종료합니다.
– [인터벌 촬영] – [스톱 모션 애니메이션] – [필터 설정] – HDMI 출력 |
[시간 스탬프 촬영]
[ON]/ |
이미지 위에 촬영한 날짜와 시간이 기록됩니다.
– [포스트 포커스] – 6K/4K 아나모픽(4:3) 비디오 – [가변 프레임 레이트] |